최근에 그리스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그리스에서 독일로 입국하는데 게이트 바로 앞에 독일 경찰 6-7명이 모든 사람의 여권과 비자를 검사하고 있었습니다. 정식 입국 심사가 아니고 중구난방으로 서서 검사했는데요. 제 여권은 표지만 보더니 바로 가라고 하더라고요. 아마 그리스를 통해 독일로 넘어오는 난민을 찾으려는 것 같아 보였습니다. 보딩 할 때 실제 난민처럼 보이는 보따리를 짊어진 엄마와 어린이 4명이 있었거든요.
검색해 보니 그리스에서 난민 자격을 받고 독일로 넘어오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올해 상반기에만 7000명이 이런식으로 독일로 들어온다고 합니다.
종교적 박해 난민: 프랑스 위그노 난민
난민은 전쟁, 박해,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고국을 떠나야 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난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고대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그노들의 이동입니다. 위그노(Huguenots)는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프랑스에서 칼뱅(Jean Calvin)의 신학을 따르는 칼뱅주의 개신교 신자들이었습니다. 종교개혁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립하고 종교적 신념을 지키고자 하는 과정에서 프랑스 왕실과 결합한 가톨릭교회로부터 심각한 박해를 받았습니다. 1572년에는 8월 24일 성바르톨로메오 축일에 수많은 위그노들이 프랑스 전역에서 가톨릭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학살당했으며, 1685년 프랑스에서 루이 14세가 퐁텐블로 칙령(Edict of Fontainebleau)이 발효함으로써 위그노들에게 신앙의 자유를 허용했던 낭트칙력(Edict of Nantes)을 폐지하면서 개신교 신앙을 공식적으로 금지했습니다. 절대 왕권을 만들기 위해 하나의 신앙, 하나의 국가, 하나의 왕이라는 생각 아래 가톨릭만을 국가의 유일한 종교로 만들어 프랑스 사회를 강력한 왕권 아래 하나로 통일하기를 원했습니다. 이로 인해 수많은 위그노들은 자신의 삶을 위협받았습니다. 교회 예배는 금지당했고, 개신교 학교는 폐지당했으며 위그노들은 가톨릭으로 개종할 것을 강요당했습니다. 개종을 거부한 위그노들은 심각한 박해를 받았으며, 그중 많은 사람들이 프랑스를 떠나 영국, 네덜란드, 스위스, 남아프리카와 같은 해외로 망명해 그곳에서 새로운 삶을 개척했습니다. 역사학자들은 이들이 약 20만 명에서 30만 명이라고 추정합니다. 위그노들은 상업, 기술, 금융 분야에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위그노들의 이동으로 인한 인구 유출로 프랑스에 상당한 경제적, 문화적 손실을 결과적으로 가져왔습니다. 그리고 위그노들이 이주한 국가들의 산업과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정치 난민: 러시아 혁명 난민
1917 년대 러시아 혁명 후 약 150만 명의 사람들이 공산 정권을 피해 탈출했습니다.
러시아 혁명 전 러시아는 황제가 있는 전통적인 러시아 제국이었습니다. 1613년부터 300년 이상 러시아 제국은 방대한 영토, 19세기와 20세기로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를 가졌습니다. 러시아 서쪽으로는 유럽 동부 폴란드, 핀란느,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동쪽으로는 러시아 극동지역, 사할린섬 캄차카반도 와 태평양 연안까지, 남쪽으로는 흑해 연안과 캅카스(현재의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지역,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북쪽으로는 북극해까지, 게다가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까지였습니다. 하지만 방대한 영토와 여러 민족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행정 통치와 통합이 어려웠고 동시에 사회적 긴장과 갈등이 계속되면서 어려움을 많이 겪었습니다. 극심한 빈부격차와 계층 간의 갈등이 경제적인 부분과 권력적인 부분에서 심했습니다. 1861년 농노제의 폐지 후 산업화의 바람이 불어온 러시아에서 공장 노동자와 도시 하층민은 열악한 노동 조건과 임금으로 고통받았으며, 이런 상황에서 사회변화를 추구하는 여러 정치적 그룹들이 나타났습니다. 각 그룹들은 자신들만의 이념과 목표를 바탕으로 러시아 사회를 바꾸고자 했는데요.
이 중 사회노동당 내에서 블라디미르 레닌(Vladimir Lenin)을 중심으로 형성된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그룹인 볼셰비키로 인해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사상이 확산되었습니다. 도시 노동자와 혁명가, 급진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조직하여 1903년 이후로 집중적으로 사회주의 국가를 세우기 위해 황제 중심의 러시가 제국의 체제를 전복하려는 활동을 벌였습니다. 1905년 러일전쟁의 패배와 1914년부터 1918년 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인해 러시아는 극심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혼란에 빠지며 식량난, 물가폭등에 사회적 불만이 커져 갔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1917년 2월 혁명이 일어나 제국이 무너지고 중도세력과 자유주의 세력이 임시정부를 세우고 전쟁을 계속하면서 사회 개혁을 통해 현대적인 국가가 되려고 했지만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정치적 경제적 혼란은 잠잠해지지 못했고 대중의 신뢰를 얻지 못했습니다. 이 틈을 타 10월 혁명,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면서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고 공산주의 정권인 소련 체제를 수립했습니다. 이때 공산주의 정권에 반대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난민이 되어 망명길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들 난민들은 주로 공산 정권이 실행한 농지 몰수, 기업 국유화, 종교탄압, 정치적 숙청 등의 급진적인 사회 변화에 반대하여 생명과 재산의 위협을 받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귀족, 지주, 지식인, 정치적 반대파, 러시아 정교회 신자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대략 150만 명에서 200만 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소련을 떠나 전 세계 여러 나라로 흩어졌습니다. 특히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등 유럽과 북미 지역으로 많이 망명했습니다. 일부는 중국의 상하이, 일본의 하얼빈 같은 동아시아 지역으로도 이동했는데요. 러시아 혁명 난민들의 생활은 매우 어려웠습니다. 많은 이들이 낮은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고, 일부는 새로운 나라에서의 적응에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큰 고통을 겪었지만 이들은 세계 각지에서 러시아 문화를 전파하고 예술, 문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습니다.
전쟁난민: 한국 전쟁 피난민
한국 전쟁 난민은 1950년 발발한 한국 전쟁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야 했던 수 백만명의 사람들을 말합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38선을 넘어 대한민국을 침공하면서 시작된 전쟁은 남북한의 군사적 충돌과 국제적인 개입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한반도 전역에 걸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수많은 민간인들이 남한과 북한 전역에서 많은 주민들이 전투와 폭격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피난길에 올랐습니다. 특히 전쟁 초기 북한 군이 남하하면서 북한 주민들이 남쪽으로 피난을 갔고, 이후 인천상륙작전과 38선 부근의 전선 이동에 따라 주민들의 피난과 귀환이 반복되었습니다. 전쟁 중 약 370만 명에서 500만 명에 이르는 이재민과 피난민이 발생했으며 이는 당시 한반도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피난민이 발생하면서 국제 사회, 특히 유엔과 국제 구호 기관들은 한반도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식량, 의료, 주거 지원이 이루어졌으며 한국 내에서는 임시 난민 피난처와 캠프가 설립되었습니다. 많은 피난민들이 경제적 어려움과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겪었으며 전후 복구 과정에서 큰 도전과 어려움을 경험해야 했습니다. 피난민들의 고통과 희생은 전 후 한국 사회의 변화를 촉진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피난민들은 남한 전역에 흩어져 정착하게 되었으며, 피난민들은 새로운 삶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후 한국의 산업화와 경제 재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전쟁 피난민 문제는 단순히 전쟁의 여파를 넘어서 한반도에 여전히 남아 있는 분단과 이산가족 문제, 그리고 역사적 상처의 근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난민과 관련된 독일어 단어
난민 die Flüchtling, die Flüchtlinge
도망가다 탈출하다 fliehen, fliehen -floh - geflohen.
위그노들은 난민이었습니다.
Die Hugenoten waren Flüchtlinge.
위그노들은 그들의 신앙 때문에 프랑스를 떠났습니다.
Wegen ihres Glaubens flohen die Hugenotten aus Frankreich.
중요 표현:
den Schutz vor: (안 좋은 것)으로부터의 보호
-난민들은 박해로부터 보호를 찾습니다.
Die Flüchtinge suchen Schutz vor Verfolgung.
vor라는 전치사는 주로 위험 위협, 해악 등“으로부터”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문
-Der Regenschirm bietet Schutz vor Regen.
우산(Der Regenschirm)은 비(das Regen)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Die Maske bietet Schutz vor Viren
마스크(Die Maske)는 바이서스로부터 보호해 줍니다.
-Wir brauchen Schutz vor Diskrimierung
우리는 차별(Die Diskrimierung)로부터(vor) 보호받아야 합니다.(보호가 필요합니다/brauchen Schutz)
다음 글 소개
독일어 수업 4 난민 지위와 난민기구의 설립을 촉진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쟁 난민.
오늘은 한국어가 좀 많았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더 좋은 수업으로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